토종 허브 "수국차나무" 소개
페이지 정보
작성자최고관리자 댓글 0건 조회 1,591회 작성일 21-06-22 00:03본문
** 수국차나무(차수국) : Hydrangea serrata var, thunbergii sugimoto(스테비아울 취급 수국차나무)
** 산수국 : Hydrangea serrata for, acuminate(수국차나무가 아님)
**수국차나무
학명: Hydrangea serrata Seringe var. thunbergii Sugimoto
계: 식물
문: 속씨식물
강: 쌍떡잎식물
목: 기타 쌍떡잎식물
분포지역: 한국·중국·일본
크기: 높이 약 70cm
특징: 감차수국이라고도 한다. 수국(水菊, Hydrangea macrophylla SERIN. var. otaksa Makino)과는 다른종이다. 줄기는 높이 22~70cm 정도이다. 잎은 긴타원형으로 대생하고 끝부분이 뽀족한 편이다. 잎의 가장자리에는 톱니모양이며 잎 표면의 측맥과 뒷면의 맥 위에는 털이 나 있다. 꽃은 초여름에 피며 처음에는 푸른색이나 나중에는 홍색이 된다. 중심부는 양성화이다. 주변부는 꽃받침이 변한 장식화로 둘러져 있다. 꽃잎과 꽃받침은 4개씩 있다.
잎에는 단맛이 있어 일본에서는 이 단맛을 이용하기 위하여 재배한다. 여름에 잎을 삶아서 초록빛을 제거한 다음 말렸다가 사용하는데, 일본에서는 음력 4월 8일 석가탄신일에 이 차를 바치는 풍습이 있다. 이것은 인도에서 탄생했을 때 용왕이 단비를 내렸다는 전설에서 유래한다. 중국과 일본에서는 본시 향탕을 사용하였으나 후에 수국차로 바꾸었다. 간장의 향료, 당뇨병 환자의 음료 또는 구충제로도 사용하였다.
위와같이 학명이 다릅니다. 외관상 구별은 불가능 할 정도입니다.
국내 자생 및 재배종 수국속식물은 아종을 포함하여 모두 13종이며, 감미를 내는 감차는 산수국의 계통이다. 감차에 대한 식물학적 분류는 명확치 않으나 북한에서 발간된 《약초의 성분과 이용(문관심, 1984)》에는 H. serrata SERINGE로 기록하였다. 《한국농식물자원 명감(안학수 등, 1982)》과 《한국자원식물(송주택, 1980)》에는 H. serrata var. thunbergii SUGIMOTO를 수국차라 하였다. 《세계유용식물사전(堀田 滿, 1989)》에는 ssp. serratum (THUNB.) MAKINO로 분류하였고, var. oamacha MAKINO를 감차(アマチャ)라 하였다. 국내에서의 자생 및 재배 수국속에는 재배종인 수국(H. macrophylla for. otaksa (S. et Z.) WILS.), 큰나무수국(for. grandiflora OHWI), 나무수국(H. paniculata SIEB.)과 미국수국(H. arborescens L.)이 있으며, 제주도와 울릉도 등 섬에서 자생하는 등수국(송주택, H. cordifolia S. et Z.)과 간판수국(H. macrophylla SERINGE), 등수국(이창복, H. petiolis S. et Z.), 바위수국(Schizophragma hydrandeoides S. et Z.) 등이 있다. 제주도에서만 나는 잎이 특히 두꺼운 떡잎산수국(for. coreana T. LEE), 주변에도 양성화가 달리는 탐라수국(for. fertilis NAK.)과 털수국(for. pubescens NAK.), 수국차(var. thunbergii SUGIMOTO) 등이 있으며. 중부 이남 지방의 산지에 자생하면서 꽃송이 주변의 꽃이 무성화인 산수국(H. serrata for. acuminata (S. et Z.) WILS.), 중성화의 꽃받침에 톱니가 있는 꽃산수국(for. bergeri NAK.) 및 긴잎산수국(for. elongata NAK.)이 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